엑셀 셀 카운팅, 여러 셀 개수 세어보기 함수
오늘은 간단하게 셀 개수를 세는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요약
- COUNT : 숫자가 들어 있는 셀 개수
- COUNTA : 빈칸이 아닌 모든 셀 개수(숫자+문자+수식 결과)
- COUNTBLANK : 진짜 빈 셀 개수
- COUNTIF : 한 가지 조건에 맞는 셀 개수
- COUNTIFS : 여러 조건을 모두 만족(AND)하는 셀 개수
모든 함수는 기본적으로 **“어떤 범위를 한 칸씩 보면서, 규칙에 맞는 셀만 세어 준다”**는 같은 원리로 동작합니다.
1. 기본 카운트 함수 3종 – COUNT / COUNTA / COUNTBLANK
1) COUNT – 숫자만 세고 싶을 때
=COUNT(B2:B101)
B2:B101 중 숫자가 들어 있는 셀만 세어 줍니다.
텍스트, 빈칸, 에러값은 모두 제외됩니다.
근거 : 엑셀은 내부적으로 각 셀의 데이터 형식을 가지고 있는데, COUNT는 이 중 “숫자 형식”만 대상으로 하기 때문입니다. 그래서 “판매수량”, “점수” 같은 열에 잘 어울립니다.
2) COUNTA – 값이 들어 있는 셀 개수
=COUNTA(A2:A101)
A2:A101에서 빈칸이 아닌 셀을 셉니다. 숫자, 문자, 날짜, =1+1 같은 수식 결과까지 전부 포함입니다.
재고품목에서 “아이템 입력 재고 수 ”, 고객 리스트에서 “등록된 고객 수”를 세는 데 많이 씁니다.
간략히 응용해서 사용할 때는 전체 열을 선택 후 제목(항목) 개수 1개를 빼주면 더 쉽게 함수를 입력할 수 있겠죠?
주의 : " "(공백 한 칸), ""(빈 문자열) 결과도 “값이 있다”고 보기 때문에 COUNTA는 카운트합니다.

3) COUNTBLANK – 진짜 빈칸만 세기
=COUNTBLANK(C2:C101)
C2:C101 중 완전히 비어 있는 셀만 셉니다.
- 아무 것도 입력 안 한 셀 → 카운트 O
- ""를 반환하는 수식이 있는 셀 → 카운트 X
근거 : COUNTBLANK는 “셀에 값/수식이 존재하는지”를 보고 판단하는데, ""는 내용이 있는 문자열로 취급되기 때문입니다.
실무에서 “미입력 건수”, “누락된 데이터 수” 체크할 때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.
2. 조건 카운트 – COUNTIF / COUNTIFS
1) COUNTIF – 조건 하나
=COUNTIF(범위, 조건)
예) A열에 이름이 있을 때 “홍길동”이 몇 명인지:
=COUNTIF(A2:A101,"홍길동")
엑셀은 A2~A101을 위에서 아래로 훑으면서 "홍길동"과 같은 셀을 발견할 때마다 1씩 더합니다.
그래서 최종 결과가 “홍길동 등장 횟수”가 됩니다.
숫자 조건도 동일합니다.
=COUNTIF(D2:D101,">=100") ' 100 이상
=COUNTIF(D2:D101,"<"&F1) ' F1보다 작은 값
비교 연산자(>=, <)를 문자열로 쓰고, 셀 값은 &로 이어붙이는 이유는
**“조건 전체를 하나의 텍스트 규칙”**으로 만들기 위해서입니다.
2) COUNTIFS – 여러 조건을 동시에
=COUNTIFS(범위1, 조건1, 범위2, 조건2, ...)
예)
- B열: 부서
- C열: 성별
- D열: 점수
“영업부이면서 여자이고, 점수 80점 이상” 인 인원 수:
=COUNTIFS(
B2:B101,"영업",
C2:C101,"여",
D2:D101,">=80"
)
각 행에서 B, C, D를 한 세트로 묶어 보고
세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행만 센다는 점이 핵심입니다. (AND 조건)
근거 : COUNTIFS는 내부적으로 같은 인덱스(행 번호)를 기준으로 조건을 동시에 체크합니다. 그래서 범위1, 범위2… 의 행 개수는 반드시 같아야 합니다.
3) OR 조건(또는)은 어떻게?
COUNTIFS 자체는 AND만 지원합니다.
OR 조건이 필요하면 여러 COUNTIF를 더합니다.
예) “영업부 또는 마케팅부” 인원 수:
=COUNTIF(B2:B101,"영업") + COUNTIF(B2:B101,"마케팅")
각 조건별 개수를 구한 후 단순 합산하므로 결과적으로 OR 조건이 됩니다.
3. “빈칸” 관련해서 자주 헷갈리는 부분
- COUNTBLANK는 “진짜 빈 셀”만 센다.
- COUNTA는 " "(스페이스), ""(빈 문자열), 0도 전부 값이 있는 것으로 본다.
- 셀이 비었는지 판단할 때는
=IF(A2="","비어있음","값 있음")
처럼 "" 비교를 많이 사용하는데,
이 경우에도 " "(스페이스)와 ""는 다르게 취급된다는 점을 기억해 두면 좋습니다.
이 차이를 이해해야 “누락건수”, “입력완료 행”을 정확하게 세울 수 있습니다.
4. 실무에서 자주 쓰는 조합 예시
1) 주문 현황 요약
- 총 주문 건수: =COUNTA(A2:A1001)
- 금액이 입력된 주문만: =COUNT(D2:D1001)
- 금액 미입력(누락) 건수: =COUNTBLANK(D2:D1001)
- 2024년 1월 VIP 주문 건수:
=COUNTIFS(
B2:B1001,"VIP",
C2:C1001,">="&DATE(2024,1,1),
C2:C1001,"<"&DATE(2024,2,1)
)
이렇게 몇 줄만 써도 월간 리포트의 기본 집계는 거의 자동화됩니다.
2) 출석부 예시
- 이름이 있는 학생 수: =COUNTA(B3:B32)
- 결석(아무 것도 안 적힌 칸) 수: =COUNTBLANK(F3:F32)
- “지각” 횟수: =COUNTIF(F3:F32,"지각")
이 정도만 익혀도 인사/총무, 교육 담당자가 만드는 간단한 통계표는 대부분 해결됩니다.
5. 마무리
정리하면,
- “단순 개수” → COUNT, COUNTA, COUNTBLANK
- “조건이 있는 개수” → COUNTIF, COUNTIFS
다섯 가지만 손에 익어도 웬만한 보고서의 행 개수, 누락 건수, 조건별 건수는 식 한 줄로 해결됩니다.
추천 학습 방법은 간단한 표 하나 만들어 놓고
위 함수들을 직접 하나씩 입력해 보는 것입니다.
같은 범위를 두고 함수만 바꿔 보면서
“어떤 셀을 포함하고, 어떤 셀을 빼는지” 눈으로 확인해 보면
COUNT 계열 함수는 금방 몸에 붙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