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요새 핫한 AI/온톨로지 기업인, 급 매수한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(PLTR \ 나스닥)에 대해 분석해 봤습니다.

 

기업 개요 및 현재 상황

Palantir Technologies Inc. (티커: PLTR)

출처 : bizjournals.com
출처 : investors.palantir.com
출처 : 위키피디아 (Alex Karp)
  • Palantir은 데이터 분석·인공지능(AI) 기반 소프트웨어 솔루션 기업으로, 특히 정부(방위·정보기관) 시장과 기업 고객용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활동해 왔습니다.
  • 최근 2025년 들어 ‘AI 붐’ 속에서 실적 및 가이던스를 상향하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
    • 2025년 2분기 매출이 약 10억 달러로 전년 대비 약 48% 성장.
    •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약 41.4억~41.5억 달러로 상향.
  • 현재 주가 (2025-10-27. 16:00 미국기준) 장마감 약 189달러 수준입니다.

출처 : 네이버증권

 

투자해야 하는 이유 (강점)

  1. AI·데이터 분석의 수혜자
    Palantir은 단순한 소프트웨어보다 ‘데이터 + AI 플랫폼’이라는 점에서 향후 성장성이 높다는 평가입니다.
    특히 미국 상업(Commercial) 사업부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됩니다.
  2. 정부 및 방위 시장 강자
    방위/정보기관을 대상으로 한 기존 사업 모델이 안정적인 기반이 되며, 대형 계약 확보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.
    정부 매출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입니다.
  3. 성장 가시성 및 시장 기대 감안
    매출 성장률이 40%대 후반으로 매우 높고, 시장에서 그 기대가 가격에 반영되어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
    또한 일각에서는 향후 5년 이상 보유할 경우 10배도 가능하다는 장기 시나리오가 제시되기도 합니다.

투자 시 주의해야 할 점 및 리스크

  1. 높은 밸류에이션(valuation) 부담
    성장성이 뛰어나긴 하나, 현재 주가는 이미 그 기대를 많이 반영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. 예컨대 매출 대비 시가총액 비율이 매우 높다는 분석이 존재합니다.
  2. 성장률 둔화 가능성
    지금은 고성장 국면이지만, 언젠가는 성장률이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. 특히 ‘언제 정점이 되는가’가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합니다.
  3. 정부 의존 및 규제 리스크
    정부 사업 비중이 높기 때문에 정부 지출 변화나 규제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습니다. 또한 기업 이미지 및 윤리적 논란(방위 관련) 등이 투자자 신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
가치 및 현재 투자 판단

  • 기업 가치를 살펴보면, 매출 성장률은 매우 양호하며 향후에도 AI 시장 확대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은 긍정적입니다.
  • 그러나 이미 시장에서는 이 기대를 상당히 반영한 상태이며, 현재 주가는 위험과 보상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  • 만약 중장기(예: 5년 이상)를 보고 투자한다면 성장 포트를폴리오의 한 축으로 고려해볼 만하지만, 단기 투자나 밸류에이션에 민감한 투자자라면 진입 시점에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.
  • “지금이 좋은 매수 타이밍인가?”라는 질문에 대해서는, **“좋은 기업이지만 지금 바로 크게 진입하기엔 리스크가 내재돼 있다”**는 것이 제 판단입니다.

팔란티어 경쟁사 비교: “운영 AI 플랫폼” vs “데이터/ML 스택”

핵심 포지셔닝

  • Palantir Foundry/Gotham/AIP: 난해한 현장 데이터를 신속히 연결·운영화(operationalize)해 의사결정/시뮬레이션까지 이어주는 ‘엔드-투-엔드 운영 AI 플랫폼’. 대규모 프로젝트·보안 요건·미션 크리티컬 환경(국방/제조/공공)에 강함.
  • Databricks: 데이터 레이크/레이크하우스 + ML/LLM 작업에 최적화된 개발자 친화형 스택. 오픈 포맷·비정형 데이터에 강해 생성형 AI 파이프라인 구축 수요를 흡수. 2025년에도 고성장(연환산 매출 런레이트 확대) 전망.
  • Snowflake: 데이터 웨어하우스 고도화에서 AI 데이터 클라우드로 확장 중(벡터/LLM 워크로드). AI 수요 연결된 업사이드 기대감으로 애널 업그레이드.
  • 하이퍼스케일러(AWS/GCP/Azure): Bedrock/Vertex/ Azure OpenAI + 데이터·MLOps를 묶은 플랫폼 제공. Foundry와 기능이 겹치는 영역도 있으나, **팔란티어는 프로젝트 주도형 ‘현장 운영화’**에 무게. (경쟁 지형 정리)

요약 비교(실무 관점)

  • 빠른 현장 적용/운영화: Palantir ≥ 하이퍼스케일러 번들 > Databricks > Snowflake
  • 오픈·유연성/개발 자유도: Databricks ≥ 하이퍼스케일러 > Snowflake > Palantir
  • 데이터 웨어하우스/BI 안정성: Snowflake ≥ 하이퍼스케일러 > Databricks > Palantir
  • 국방/공공 미션 크리티컬: Palantir ≫ 기타(보안·배포 레퍼런스)

인사이트 : 
**“연구·개발 중심(데이터랩) → Databricks”, “현장 운영/의사결정 자동화(제조·국방·물류)
→ Palantir”, “대규모 분석·BI·공유 → Snowflake”**로 정리하면 선택이 쉽습니다.


한국 시장/제휴 현황 하이라이트

  1. HD현대(舊 현대중공업) 그룹
  • 2022년 JV·도입 발표(Foundry 기반) 이후, 조선소 디지털 전환·디지털 트윈·안전/원가 최적화로 확장. 2025년에도 “팔란티어와 협력 강화”를 그룹 경영진이 재확인.
  • 2024년에는 무인수상정(USV) 개발 협력도 공개—국방 해양 영역으로의 확장 신호.
  1. 삼성전자(반도체) ‘협력설(보도)’
  • 2025년 3월 국내외 IT 매체에서 수율/품질 개선을 위한 팔란티어 협업 보도가 잇따름. 다만 ‘공식 확정’ 톤이 아닌 보도/추정 성격임을 유의. (루머성 보도는 사실 확정 전까지 투자 판단에 과도 반영 금물)
  1. 국내 거점·생태계
  • 2022년 한국 진출 확대HD현대와 빅데이터 합작 계획 공식 발표(팔란티어 보도자료). 2025년 10월엔 서울 팝업 스토어 등을 열며 인지도·인력 풀 확장도 병행.

한국 포인트: 조선·방산·제조·반도체 등 ‘현장 데이터 밀집·보안 민감’ 산업과 팔란티어의 운영 AI 강점이 잘 맞물립니다. HD현대 사례는 “원가/안전/생산성”이라는 재무적·운영적 KPI로 연결되는 레퍼런스입니다.


투자 체크리스트(경쟁·한국 특수성 반영)

  • 경쟁 구도: Databricks와 Snowflake도 AI 워크로드로 가속 중—밸류에이션·성장 기대를 이미 주가가 선반영했는지 판단 필요.
  • 레퍼런스 질(質): HD현대·미국 방산 등 고난도·보안 환경 레퍼런스는 무형 장벽. 다만 상업부문의 대규모 매출 확장 속도가 핵심 모멘텀.
  • 한국 확장성: 조선/방산 외 반도체·중공업·정유/화학으로 케이스 전이 가능성. 삼성 보도는 공식 확인 전까지 보수적으로 해석.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11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 29
30
글 보관함